본문 바로가기

심리/철학

스트레스의 순환



먼저 용어정리 출처는 Daum


부신피질자극호르몬분비촉진호르몬 (Corticotrophin Releasing Hormone, 부신피질자극방출호르몬,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adrenocorticotropic hormone, corticotropin, 코르티코르핀)

코르티코트로핀(corticotropin)이라고도 함.
뇌하수체(腦下垂體)에서 형성되며 부신의 바깥부분인 피질의 활동을 조절하는 폴리펩티드 호르몬.
포유동물에서 ACTH의 작용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인 코르티솔(cortisol)과 코르티코스테론(→ 코르티코이드)이 생성되는 부신피질 부위에 국한되어 있다. 뇌하수체의 ACTH 분비 그 자체는 코르티코트로핀방출호르몬(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CRH)이라고 하는 다른 폴리펩티드에 의해 조절되는데, CRH는 신경계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에 대한 반응으로 시상하부에서 분비된다.


코티솔 (cortisol)

히드로코르티손이라고도 함.
스테로이드계에 속하는 유기화합물.
부신에서 분비되는 주요호르몬이다. 강력한 항염제이며 류머트관절염의 치료제로도 쓰인다. 혈액 내에 코르티솔과 또다른 부신호르몬인 코르티코스테론의 양은 전뇌에 있는 조절기관인 시상하부가 조정하는데, 이들이 부족하면 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인 부신피질자극호르몬-유리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releasing hormone/ACTH-RH)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이 물질은 뇌하수체 전엽에 작용해 ACTH를 만들게 하는데, ACTH는 차례로 부신피질에서 하루에 20~30㎎의 코르티솔이 분비되도록 조절한다. 코르티솔은 대사과정을 재빨리 거치면서(3시간 정도의 반감기) 여러 대사산물로 바뀌어 요(尿)로 배출된다. 코르티솔을 치료에 사용할 때 코르티손과 같은 부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두 약물은 프레드니솔론 같은 합성 스테로이드로 대부분 대체되었다.


코티솔의 기능




시상하부(hypothalamus) : 신경계와 호르몬의 활동을 통합 관리



 

뇌하수체(hypophysis)




부신 (suprarenal gland)
 
좌우 신장(腎臟) 위에 각각 하나씩 있는 3각형의 작은 내분비선(→ 내분비계).




부신피질



시뮬레이션을 해보자면 ......


생물적 스트레스 -> 자극의 시상하부 전달 ->  시상하부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CRH)이 방출 -> CRH의 증가 ->  뇌하수체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가 분비되어 부신피질자극 -> 부신피질에서 스트레스 대처 호르몬들의 총칭인 코티솔(코르티솔)의 분비 -> 코티솔의 과잉분비는 잉여 코티솔을 흡수하여 체내 코티솔 수치를 조절하는 당질코르티코이드(코티솔을 이루는 호르몬)수용체가 잉여 코티솔을 흡수하는 양을 초과하여 신체는 스트레스 과잉대처상태가 됨 -> 스트레스로 장기간 코티솔 수치가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되면 코티솔 체계의 손상야기 -> 코티솔 수치가 한번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면 쉽게 중단되지 않게됨. = 만성 우울증의 생물학적 실재

또한 코티솔 과잉상태로 초래되는 신체의 이상상태는 다시 스트레스의 공급요인.
지나치게 자극받은 부신피질은 코티솔이 필요할때 분비하지 못해 코티솔 결핍도
초래할수 있다. 즉 코티솔 과잉은 고티솔 결핍과 함께할 가능성이 많음.
이는 면역체계가 원활히 활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것을 말한다.

지나치게 심한 스트레스와 지나치게 높은 코티솔 수치가 지나치게 오래 지속되다 보면
스트레스가 해결된 후에 피드백을 조절하여 코티솔 수치를 감소시키는 신경세포들이
파괴되기 시작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해마와 편도의 손상과 신경세포망 조직의 손실로
이어진다. 우울증 상태에 오래 머물수록 심각한 손상을 입을 확률은 커지며 말초신경 장애가 일어나 시력이 저하되고 온몸에 장애가 올 수도 있다.

항우울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SSRI)는 세로토닌 수치를 조절하고 -> CHR 수치 억제 -> 코티솔 수치억제 의 효과가 있는것 으로 밝혀짐.



관건은 스트레스

우리는 생물학적으로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항하기 위한 우리 몸의 제반 매커니즘을
이해하고 (아쉽게도 이는 과학적으로 아직 미진한 단계다) 이를 적절하게 유지함으로써
우울증 뿐만아니라 기타 여러가지 질병으로부터 몸을 건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우리의 뇌 또는 마음이 정신적 스트레스를 주는 원천 요인에 대한 인식을 전환 함에
따라 스트레스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마음가짐에 따라 건강이 변한다는 것은 어찌보면
굉장히 일리가 있는 말이다.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부정적이고도 논리적 오류를 포함한 자동판단 사고 패턴의 고착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외부의 정신적 자극이 우리몸의 생물학적 부적절한 반응으로 연결되는 일련의 프로세스역시 고착된다는 것이다.

만성우울증 상태를 몸이 기억했다가 또다시 재발하는 경우에 이같은 원인이 있을 수 있으
며 이것은 다른 질병들에게도 해당하는 것 같다.(의사가 아니기때문에 전문적인 지식은 한계가 있다.)

때로는 자기기만역시 훌륭한 방어기제가 될 수 있으나 사람에 따라 기만에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경우(나의 경우가 그렇다) 그역시 스트레스가 될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한다.

사람에 따라 기만이나 그냥 입으로 '괜찮다'라는걸 발음하는것 자체 만으로도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사람에 따라 사물과 현상과 세계를 통찰하여 결국 본질에는
옳은 것도 그른 것도 없다는걸 알게 된다던지 혹은 명상을 한다던지 또는 엄청 재미 있는
사람과 마구 웃으면서 대화하여 시간가는줄을 모른다던지 ..... 이런 작용들이 결국엔

면역체계에 까지 영향을 끼친다는건 정말 놀라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단지 우울증이 아니더라도 마음이 아프면 몸까지 아픈 사람들을 종종 봐 왔다.

나역시 물리적 정신적 스트레스에 강한 인간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나의 특징은 정신적 스트레스가 생물학적 반응으로 이어지는 연결고리의
한 축인 인식의 부분에 강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스트레스에 잘 대처하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해 본다.

대신 부작용으로 감성이 결여되고 시니컬한 성향을 가지게 되어 대인관계에 실패하는
결과를 초래하는지도 모르겠다. 결국 사회적으로 성공하지 못하고 사랑받지 못하여
애정결핍과 경제적 고난을 초래하여 Life risk를 감당할 비용이 없어서 질병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여 오히려 빨리 죽을 수도 있다. 아하하 -_-;;


어떤 경우가 좋은거죠?????
이런걸 다 고려하면서 사는것 역시 스트레스 -> 자극의 시상하부 전달 -> CRH분비 .......
늬미 네버엔딩스토리 ....
이놈의 연결고리를 끊어야 한다.

그래서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해야 하는 것이다.
성취감, 콜렉팅, 음악감상, 맛있는 음식 먹기, 돈많이 벌기, 만화책 보기, 시원한 바람을 얼굴에 맞기, 공기가 맑은 숲에서 코로 크게 심호흡 해보기,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노력하기.

결국은 가장 쉬우면서도 가장 어려운 일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심리/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EMDR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  (0) 2009.05.26
ECT (전기경련치료 : Electrocunvulsive Theraphy)  (0) 2009.05.26
우울증과 항우울제  (0) 2009.04.28
SSRI  (0) 2009.04.28
정신과 약물의 종류  (0) 2009.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