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철학

섭식장애


심리적 긴장과 관련된 과식, 나쁜 영양 습관, 그리고 특정 음식에 대한 일시적인 몰두는 비교적 젊은이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식이 문제입니다. 여기에 덧붙여서, 두 가지 정신의학적 식이장애(역자 註: 섭식장애, 식사장애라고도 불림)인 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 역자 註: 식욕이 떨어진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병명이지만 결코 입맛이 떨어지는 것은 아님. 식사를 거부한다는 의미에서 거식증이라고 부르기도 함)과 신경성 대식증(bulimia nervosa 역자 註: 한꺼번에 다량의 음식을 먹는다는 점에서 폭식증이라고도 부름)이 십대 소녀와 젊은 여성에서 증가하고 있는데, 이 질환은 가족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미국의 통계에 따르면, 많게는 젊은 여성 100명 중 10명이 식이장애로 고통받는다고 합니다. 이 두 가지 식이 장애는 남자아이들에게서도 일어날 수는 있지만, 여자에 비해서는 훨씬 적게 발생합니다. 소아 청소년 정신과 의사는 음식에 대한 집착(preoccupation with food)과 신체상의 왜곡(distortion of body image)을 특징으로 하는 이들 정신과적 질병을 평가,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있어 전문적인 수련을 받습니다.

부모들이 흔히 하는 질문은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대식증의 증상을 어떻게 알아낼 수 있는가?"하는 것입니다. 불행히도, 많은 십대들이 심각하고 때로는 치명적인 이러한 질병을 수개월에서 수년간이나 가족들 모르게 감쪽같이 숨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모들은 반드시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대식증의 다양한 증상과 경고 신호들에 대해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 전형적으로 신경성 식욕부진증을 가진 십대는 완벽주의자이며 학업에서도 높은 성취를 보입니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그녀는 낮은 자존심(self-esteem)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자신이 실제로 마른 정도에는 상관없이 스스로가 비만하다는 불합리한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신의 인생에 대한 통제감(feeling of mastery)을 절박하게 필요로 하는데, 신경성 식욕부진증을 가진 십대는 자신의 신체가 정상적으로 필요로 하는 음식에 대해 '싫다'라고 말할 때에만 조절감(sense of control)을 경험합니다. 마른 몸매에 대한 부단한 추구의 과정에서, 소녀들은 스스로를 기아상태로 몰고 갑니다. 그 결과 신체에 대한 심각한 손상까지 발생하고, 일부는 사망하기까지 합니다.
  • 대식증의 증상은 대개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증상과는 다릅니다. 환자들은 많은 양의 고칼로리 음식을 한꺼번에 먹고 나서는, 스스로 토하거나 약물(역자 註: 이뇨제나 변비치료제)을 사용하여 섭취한 칼로리를 제거하는 행동(purging)을 보입니다(역자 註: 여기에 덧붙여서 과도한 운동을 하는 경우도 많음). 이러한 폭식이 심한 다이어트와 교대로 나타나며, 그 결과 체중이 극단적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십대들은 화장실 안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흐르는 물로 토한 흔적을 숨기기도 합니다. 대식증 환자들의 제거 행동(purging)은 탈수, 호르몬 불균형, 중요 무기질(minerals)의 고갈, 주요 장기의 손상 등을 일으켜서 신체적 건강에 심각한 위험이 초래됩니다.

집중적이고 포괄적인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의 십대 환자들은 증상이 완화되거나 식이 장애를 다스리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식이장애의 치료는 보통 팀을 통한 접근(team approach)이 필요한데, 여기에는 개인치료(individual therapy), 가족치료(family therapy), 신체 질환을 담당하는 의사 및 영양사의 자문, 약물치료 등이 포함됩니다. 동시에 식이장애를 가진 청소년 중 많은 수는 우울증, 불안 및 물질 남용과 같은 다른 문제로 고통받고 있으므로, 이런 문제들을 인식하고 적절한 치료를 해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early identification and treatment)가 되어야 보다 좋은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자녀에게서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대식증의 증상을 발견한 부모들은 반드시 주치의나 소아과의사와 상의한 후, 식이장애의 포괄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소아청소년 정신과 의사에게 자녀를 의뢰해야 합니다.

- 최종 수정일 04/28/2009 13:58:24 -

'심리/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RI  (0) 2009.04.28
정신과 약물의 종류  (0) 2009.04.28
소아 우울증  (0) 2009.04.28
스트레스성 폭식  (0) 2009.03.28
시니피앙 시니피에  (0) 2009.03.27